31. 다음 중 강연결(tightly coupled) 분산시스템은?
① Local Area Network
② Metropolitan Area Network
③ Neural Network System
④ System Network Architecture
정답: 3
해설: Neural Network System은 다수의 프로세서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병렬로 작업을 수행하는 구조이다. Local Area Network와 Metropolitan Area Network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일종이며, System Network Architecture는 IBM에서 제안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이다.
32. 다음 중 패킷 교환방식을 채택한 통신망이 아닌 것은?
① ARPA Network
② SAGE System
③ TELNET System
④ ALOHA System
정답: 2
해설: SAGE System은 군사 목적으로 개발된 방공 시스템으로, 회선 교환 방식을 사용하였다. ARPA Network, TELNET System, ALOHA System은 모두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망이다.
33. 컴퓨터 통신망의 대표적인 서비스로 옳은 것은?
① 병렬 프로그래밍
② 다중 프로그래밍
③ 파일파일링
④ 분산 데이터베이스
정답: 4
해설: 분산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데이터베이스가 분산되어 있는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병렬 프로그래밍과 다중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세싱 기술이며, 파일파일링은 잘못된 용어이다.
34. 통신 엔티티 사이에서 원활히 데이터를 교신하기 위해 필요한 협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TSS (Time Sharing System)
② 데이터 교환(data switching)
③ 동기식 전송(synchronous transmission)
④ 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
정답: 4
해설: 통신 프로토콜은 통신 엔티티 간 데이터 교환을 원활히 하기 위한 규칙과 절차를 정의한 협정이다. TSS는 시간 공유 시스템, 데이터 교환과 동기식 전송은 통신 방식에 관한 용어이다.
35. 한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 7비트를 사용하는 코드는?
① Baudot 코드
② CCITT Alphabet No.5 코드
③ BCD 코드
④ EBCDIC 코드
정답: 2
해설: CCITT Alphabet No.5 코드, 즉 ASCII 코드는 7비트를 사용하여 한 문자를 표현한다. Baudot 코드는 5비트, BCD 코드는 6비트, EBCDIC 코드는 8비트를 사용한다.
36. 다음은 전송방향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① 단방향(simplex) 통신의 전형적인 예는 라디오 방송이다.
② 반이중(half-duplex) 통신의 전형적인 예는 전화기를 사용하는 통신이다.
③ 전이중(full-duplex) 통신의 전형적인 예는 무전기를 사용하는 통신이다.
④ 전이중 통신의 경우에는 한 방향으로의 통신이 끝난 이후에 다른 방향으로의 통신이 이루어져 정보전달방향이 교대로 바뀐다.
정답: 1
해설: 단방향 통신은 한 방향으로만 데이터가 전송되며, 라디오 방송이 그 예이다. 반이중 통신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이뤄지지는 않으며, 전화기가 그 예이다. 전이중 통신은 양방향으로 동시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방식이다.
37. ASCII 문자에 SYN과 관련이 적은 것은?
① 손수 패리티를 사용하는 경우 00010110 비트 패턴을 갖는다.
②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개의 SYN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③ 비트 동기화(bit synchronization)를 위해 필요하다.
④ 문자 동기화(character synchronization)를 위해 필요하다.
정답: 3
해설: SYN(동기화 문자)은 주로 문자 동기화(character synchronization)를 위해 사용된다. SYN 문자는 손수 패리티와 함께 사용할 때 특정 비트 패턴을 가지며, 오류 방지를 위해 여러 개의 SYN을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비트 동기화는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SYN과 관련이 적다.
38. 광섬유에 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 신호가 코도파된 광선을 내부 반사에 의해 전송한다.
② 단일 모드의 경우는 장거리 통신에, 다중 모드는 단거리 통신에 사용된다.
③ 광섬유끼리의 접속에 필요한 기술미흡으로 접속 부분에서 오류 발생의 가능성이 있다.
④ 넓은 대역폭, 적은 감쇠율 등의 장점이 있으나, 리피터의 설치 간격은 동축 케이블보다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정답: 4
해설: 광섬유는 신호를 코도파된 광선을 내부 반사에 의해 전송하며, 단일 모드는 장거리 통신, 다중 모드는 단거리 통신에 사용된다. 접속 기술 미흡으로 접속 부분에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광섬유는 넓은 대역폭과 적은 감쇠율 덕분에 리피터 설치 간격이 동축 케이블보다 길다. 따라서 "리피터의 설치 간격은 동축 케이블보다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는 설명은 부적절하다.
39. 다음 중 전반처리기(FEP)에 관한 설명은?
① 단말기 사이에 통신선로의 부하를 나누어주는 장치이다.
② 디지털 신호를 전화기로 통하여 전화선을 따라 전송될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준다.
③ 디지털 신호를 받을 때 실시간 변조된 광량을 원래의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기능을 한다.
④ 통신 제어 처리를 중앙 처리 컴퓨터의 주컴퓨터가 독립적으로 일을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정답: 4
해설: 전반처리기(FEP)는 통신 제어 처리를 중앙 처리 컴퓨터의 주컴퓨터가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단말기 사이의 통신선로 부하 분산이나 디지털-아날로그 신호 변환, 실시간 광량 변조는 FEP의 기능이 아니다. FEP는 주로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고, 중앙 처리 장치의 부하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40. 수평패리티검사와 수직잉여도검사(LRC)에 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 수평패리티검사는 동일한 행(row) 위치의 비트들의 값이 1인 개수가 짝수인 것을 기준으로 검사한다.
② 수직잉여도검사는 오류 비트의 수가 짝수일 때 오류검출이 불가능한 패리티검사와 달리 오류를 보완하는 검사이다.
③ 수직잉여도검사는 각 문자에 대한 전송 오류를 검사한다.
④ 수직잉여도검사는 동일한 열(column) 위치의 비트들의 값이 1인 개수가 짝수인지 혹은 홀수인지를 검사한다.
정답: 3
해설: 수평패리티검사는 각 행의 비트 값이 짝수인지를 기준으로 오류를 검사하며, 수직잉여도검사는 각 열의 비트 값을 짝수나 홀수로 검사하여 오류를 검출한다. 수직잉여도검사는 행과 열의 검사를 결합하여 오류 검출 능력을 향상시키지만, 각 문자에 대한 전송 오류를 직접 검사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직잉여도검사는 각 문자에 대한 전송 오류를 검사한다"는 설명은 부적절하다.
41. 오류검출방식의 하나인 순환잉여검사(Cyclic Redundancy Check)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전송할 데이터가 ASCII 코드로 00010110이라 할 때 전송하기 전에 다항식 A\cdot M(X) = X^4 + X^2 + X로 표현될 수 있다.
② 메시지가 문자 단위가 아니라 2진수의 연속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패리티 비트 검사보다는 순환잉여검사를 사용한다.
③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생성다항식 중 하나인 CRC-12는 코드가 8비트인 경우에 사용되며, 특히 패킷 교환망에서 이용된다.
④ 수신측에서는 메시지 다항식 F(X)를 받아 생성다항식 G(X)로 나누어 나머지가 0이면 오류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정답: 2
해설: 순환잉여검사(CRC)는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데이터가 2진수의 연속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효과적이다. 1번은 잘못된 수식 예시이며, 3번의 CRC-12는 코드가 12비트이다. 4번은 CRC에서 나머지가 0이면 오류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2번이 옳다.
42. 기존의 전화처럼 다양한 성능의 컴퓨터가 기능의 중요성과 처리 능력의 정도에 따라 구분되어 연결된 네트워크는?
① 성형(star) 네트워크
② 환형(ring) 네트워크
③ 망형(mesh) 네트워크
④ 계층형(hierarchical) 네트워크
정답: 4
해설: 계층형 네트워크는 각기 다른 성능과 역할을 가진 컴퓨터들이 계층 구조로 연결된 네트워크 형태이다. 이는 기존의 전화 시스템처럼 기능의 중요성과 처리 능력에 따라 컴퓨터들이 구분되어 연결되는 방식이다. 성형 네트워크는 중앙 허브를 중심으로 연결되고, 환형 네트워크는 모든 노드가 순환 형태로 연결되며, 망형 네트워크는 모든 노드가 상호 연결된다.
43. 다음 중 전송할 데이터를 정해진 길이로 분할한 뒤 연결 설정이나 연결 해제 과정이 없이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법은?
① 회선 교환방식
②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방식
③ 메시지 교환방식
④ 가상회선 패킷 교환방식
정답: 2
해설: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방식은 데이터를 작은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며,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목적지에 도달한다. 이 방식은 연결 설정이나 해제 과정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회선 교환방식은 전화 통신과 같이 연결을 설정한 후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메시지 교환방식은 전체 메시지를 일괄 전송하며, 가상회선 패킷 교환방식은 논리적인 연결을 설정한 후 데이터를 전송한다.
44. 다음은 오류제어방식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전진오류제어방식은 송신측에서 일정한 프레임에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수신측이 받은 데이터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다.
② 전진오류제어방식은 Hamming 코드, Reed-Muller 코드 등을 이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③ 후진오류제어방식은 오류를 검출하는데 사용하는 기술과 재전송방식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나뉜다.
④ 후진오류제어방식은 데이터의 송신자가 한 곳이 아닌 여러 곳에 있는 동시성 높은 환경에서 재전송이 어려운 환경에 사용된다.
정답: 4
해설: 후진오류제어방식(ARQ)은 오류를 검출한 후 송신자에게 재전송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주로 데이터 전송 중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재전송을 통해 정확성을 보장한다. 이는 단일 송신자-수신자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며, 동시성이 높은 환경에서는 오히려 전진오류제어방식(FEC)이 적합하다. 전진오류제어방식은 송신측에서 부가적인 정보를 포함하여 수신측이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45. ARQ 방식과 관련된 서술 중 옳은 것은?
① 정지-대기 ARQ 방식은 구현방법이 단순하고, 송신측 내에 최대 프레임 크기의 버퍼를 1개만 사용하여도 된다.
② 정지-대기 ARQ 방식에는 Go-back-N ARQ와 Selective-Repeat ARQ의 두 종류가 있다.
③ 연속적 ARQ 방식은 프레임의 길이를 변경시키면서 전송하는 방식이다.
④ 적응적 ARQ 방식은 오류제어 필드를 이용하여 오류를 제어하는 정보 귀환방법이다.
정답: 1
해설: 정지-대기 ARQ 방식은 단순한 구현 방법을 가지며, 송신 측에서 최대 프레임 크기의 버퍼를 1개만 사용하여도 된다. Go-back-N ARQ와 Selective-Repeat ARQ는 연속적 ARQ 방식의 하위 유형이다. 연속적 ARQ 방식은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며, 프레임 길이를 변경시키지 않는다. 적응적 ARQ 방식은 동적 오류 제어 필드를 사용하지 않으며, 오류 발생 시 정보를 귀환하는 방식이다.
'방통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통대 인공지능 2013학년도 2학기 기출문제 풀이와 해설 및 다운로드 (1) | 2024.06.08 |
---|---|
방통대 정보통신망 2014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기출문제 풀이 및 해설 다운로드 (0) | 2024.06.07 |
방통대 정보통신망 2012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기출문제 풀이 및 해설 다운로드 (0) | 2024.06.06 |
방통대 정보통신망 2011-1학기 기출문제 풀이 및 다운로드 (0) | 2024.06.06 |
방통대 파이썬 프로그래밍 기말시험 기출문제 대비 OX 퀴즈 120 문제 (1) | 2024.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