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용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분산 시스템의 관점에서 볼 때 컴퓨터 통신망은 ( ㉠ ) 분산 시스템이 되고, 여기에는 대규모 컴퓨터 통신망인 ( ㉡ ), 중규모 컴퓨터 통신망인 ( ㉢ ), 소규모 컴퓨터 통신망인 ( ㉣ ) 등이 있다.
① 강연결, WAN, MAN, LAN
② 약연결, WAN, MAN, LAN
③ 전경망, Internet, LAN, PAN
④ 상호 접속망, Internet, SAGE, SABRE
정답: 2
해설: 분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약연결을 통해 구성된다. WAN, MAN, LAN은 대규모, 중규모, 소규모 통신망을 의미한다. 강연결은 분산 시스템의 관점에서 보기 어렵고, 전경망은 적절한 용어가 아니다. 상호 접속망도 이 문맥에 맞지 않다.
2. 다음 중 최초의 무선 패킷 교환방식을 채택한 통신망은?
① ARPA Network
② SABRE System
③ SAGE System
④ ALOHA System
정답: 4
해설: ALOHA System은 최초로 무선 패킷 교환 방식을 채택한 통신망이다. ARPA Network는 유선 네트워크이고, SABRE System과 SAGE System은 항공 예약 시스템 및 군사 시스템으로 무선 패킷 교환 방식과는 관련이 없다.
3. 컴퓨터 통신망의 대표적인 서비스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병렬 프로그래밍
② 분산 데이터베이스
③ 원격 로그인
④ 전자 우편
정답: 1
해설: 병렬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통신망 서비스가 아닌 프로그램 내 병렬 처리를 의미한다. 분산 데이터베이스, 원격 로그인, 전자 우편은 모두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4. 다음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을 구성하는 7개 계층의 이름들이다. 각 계층을 순서대로 열거한 것은?
가. 세션 계층
나. 트랜스포트 계층
다. 응용 계층
라. 표현 계층
마. 네트워크 계층
바. 물리 계층
사. 데이터 링크 계층
① 바-마-나-라-가-다-사
② 바-사-마-나-가-라-다
③ 바-사-마-나-라-가-다
④ 바-사-마-라-나-가-다
정답: 3
5. 통신 개체 사이에 무엇을, 언제, 어떻게 통신할 것인지 서로 정한 규약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TSS(Time Sharing System)
② 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
③ 동기식 전송(synchronous transmission)
④ 데이터 교환(data switching)
정답: 2
해설: 통신 프로토콜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규칙과 절차를 정의한다. TSS는 시간 공유 시스템이고, 동기식 전송은 시간 동기화 방식의 하나이며, 데이터 교환은 데이터 전송을 의미한다. 따라서 통신 프로토콜이 정답이다.
6.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8비트를 사용하는 코드는?
① Unicode
② ASCII
③ Baudot code
④ EBCDIC
정답: 4
해설: EBCDIC는 8비트를 사용하여 문자를 표현하는 코드이다. ASCII는 7비트를 사용하며, Unicode는 가변 길이를 사용한다. Baudot code는 5비트를 사용한다. 따라서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8비트를 사용하는 코드는 EBCDIC이다.
7. 다음 중 ASCII 코드의 전송제어문자인 것은?
① ACK(Acknowledge)
② FS(File Separator)
③ BS(Back Space)
④ HT(Horizontal Tabulation)
정답: 1
해설: ACK는 전송 데이터의 수신 확인을 나타내는 ASCII 코드의 전송 제어 문자이다. FS는 파일 구분자를, BS는 백스페이스를, HT는 수평 탭을 나타내며, 전송 제어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ACK이다.
8.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용어는?
일반적으로 먼 거리에 데이터 전송에는 채널의 가격 때문에 ( )이 주로 사용되는데 부호화된 문자의 비트들을 하나의 채널을 따라 차례로 전송한다.
① 단방향 통신
② 전이중 통신
③ 직렬 전송
④ 병렬 전송
정답: 3
해설: 직렬 전송은 하나의 채널을 통해 비트들을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먼 거리에 데이터 전송 시 효율적이다. 단방향 통신은 데이터가 한 방향으로만 전송되는 방식이며, 전이중 통신은 동시에 양방향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식이다. 병렬 전송은 여러 비트를 동시에 전송하므로 채널 비용이 더 높다.
9. ASCII 문자인 SYN(Synchronous Idle)과 관련이 적은 것은?
① 짝수 패리티를 사용하는 경우 SYN은 1000110의 비트 패턴을 갖는다.
②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개의 SYN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③ 문자 동기(character synchronization)를 위해 필요하다.
④ 비트 동기(bit synchronization)를 위해 필요하다.
정답: 4
해설: SYN 문자는 문자 동기화(character synchronization) 목적으로 사용되며, 비트 동기화(bit synchronization)와는 관련이 없다. 짝수 패리티를 사용하는 경우 특정 비트 패턴을 가지며,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개의 SYN을 사용하는 것도 일반적이다. 따라서 비트 동기화와 관련이 없는 4번이 정답이다.
10. 1개의 시작 비트와 1개의 정지 비트를 사용하는 비동기식 전송의 경우 최대 전송 효율을 구하면?
① 80.0 %
② 85.0 %
③ 95.0 %
④ 98.0 %
정답: 1
해설: 비동기식 전송에서 각 데이터 프레임은 1개의 시작 비트와 1개의 정지 비트를 필요로 한다. 이는 8비트 데이터에 추가로 2비트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전체 10비트 중 8비트가 실제 데이터이므로 전송 효율은 8/10 = 80.0%이다.
11. 2개의 SYN 문자를 이용하는 동기식 전송의 최대 전송 효율을 구하면?
① 80.0 %
② 85.0 %
③ 96.0 %
④ 98.0 %
정답: 3
12. 다음 중 무선통신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라디오파는 반 방향을 지향하는 특징이 있으며, 데이터 통신용으로도 전송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② 지상 마이크로파는 장거리 통신에 주로 이용되며, 보통 접시 안테나를 이용한다.
③ 위성 마이크로파는 오류를 상당히 증가하게 하며, 일 대 다 통신에 유리하다.
④ 무선통신의 통신거리와 구간은 테더링으로 주로 사용하는 라디오파이다.
정답: 2
해설: 지상 마이크로파 통신은 장거리 통신에 주로 사용되며, 신호를 집약하고 정확하게 전송하기 위해 접시 안테나를 이용한다. 라디오파는 일반적으로 반이 아닌 모든 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하며, 전송 속도가 높다는 특징은 없다. 위성 마이크로파는 오류보다는 넓은 범위 커버리지에 유리하며, 테더링은 주로 무선 LAN 기술을 사용한다.
13. 멀티드롭 선로에 연결할 수 있는 단말기의 수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보기에 부적절한 것은?
① 선로의 통신 속도
② 사용되는 귀환 오류제어방식의 종류
③ 통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처리 능력
④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트래픽의 규모
정답: 2
해설: 멀티드롭 선로에 연결할 수 있는 단말기의 수는 주로 선로의 통신 속도, 통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처리 능력,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트래픽의 규모에 의해 결정된다. 귀환 오류제어방식의 종류는 단말기 수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높이는 방식이지 단말기 연결 수를 제한하는 요인은 아니다.
14. 다양한 성능의 컴퓨터가 기능의 중요성과 처리 능력의 정도에 따라 구분되어 연결된 네트워크는?
① 성형(star) 네트워크
② 환형(ring) 네트워크
③ 망형(mesh) 네트워크
④ 계층형(hierarchical) 네트워크
정답: 4
해설: 계층형 네트워크는 다양한 성능의 컴퓨터가 기능의 중요성과 처리 능력의 정도에 따라 계층적으로 구분되어 연결된다. 성형, 환형, 망형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토폴로지로서 기능의 중요성과 처리 능력의 차이에 따른 구분을 하지 않는다.
15. 데이터그램 전송방식에 관련된 서술로서 옳은 것은?
① 메시지 교환 방식의 일종이다.
② 전송할 정보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분할하여 중간 노드에 저장하였다가 목적지 점 수신자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③ 각 데이터그램은 독립적으로 전송되며, 따라서 수신지에 도착하는 순서가 송신자의 전송순서와 달라질 수 있다.
④ 연결지향(connection-oriented)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은 연결설정, 데이터 전송, 연결 해제로 구성된다.
정답: 3
해설: 데이터그램 전송방식은 비연결형 서비스로, 각 데이터그램이 독립적으로 전송된다. 이로 인해 도착 순서가 송신 순서와 다를 수 있다. 메시지 교환 방식과 중간 노드 저장 방식은 데이터그램 방식과 다르며, 연결지향 전송은 데이터그램 방식이 아니다.
16. 다음 중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데이터가 전송될 때 통신 링크에서 소요되는 시간으로서 두 노드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은?
① 전파지연
② 전송지연
③ 처리지연
④ 큐잉지연
정답: 1
해설: 전파지연은 신호가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전파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두 노드 사이의 거리에 비례한다. 전송지연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관련 있으며, 처리지연과 큐잉지연은 시스템의 처리 능력 및 대기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17. 다음 중 주소지정 기능에 관한 서술로서 옳은 것은?
① 통신망에서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② 송신자로부터 수신자까지 데이터가 이동하는 경로를 찾아낸다.
③ 송신자와 수신자가 동일한 통신 규약을 사용하고 있는지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
④ 송신자와 수신자가 상호 동일한 속도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는지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
정답: 1
해설: 주소지정 기능은 통신망에서 각 사용자나 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를 정확하게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기능이다. 반면에 ②는 경로 결정(라우팅)에 관한 설명이고, ③은 프로토콜의 호환성 문제, ④는 전송 속도 일치에 관한 문제이다.
※ (18-19) 다음 그림과 같이 문자 4개를 홀수 패리티 방식으로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한다. 각 문자에서 1의 패리티 비트를 구하시오.
18. ㉠, ㉡, ㉢, ㉣를 순서대로 적은 것은?
① 0111
② 0101
③ 1010
④ 0010
정답: 4
19. 짝수 패리티를 이용하는 LRC 8비트를 ㉠, ㉡, ㉢, ... , ㉧ 순으로 적은 것은?
① 0110 0101
② 1010 1111
③ 1001 1010
④ 0111 0100
정답: 2
20. 순환잉여검사 방식에 따르면 전송할 데이터를 다항식 \( M(X) \)로 나타낸다. 만일 \( M(X) = X^5 + X^3 + X^2 \)이라면 원래 전송할 데이터 비트는 다음 중 어떤 것인가?
① 101100
② 110110
③ 101010
④ 100010
정답: 3
해설: 다항식 \( M(X) = X^5 + X^3 + X^2 \)는 이진수로 변환하면 101010이 된다. \( X^5 \)는 100000, \( X^3 \)는 001000, \( X^2 \)는 000010이므로, 이를 더하면 101010이다. 따라서, 원래 전송할 데이터 비트는 101010이 맞다. 다른 선택지는 이 다항식과 일치하지 않는다.
21. 송신지국에서의 오류 여부를 결정하는 오류제어방식은?
① 결졍귀환 방식
② 정보귀환 방식
③ 복합귀환 방식
④ 전진오류정정 방식
정답: 2
해설: 정보귀환 방식은 송신지국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확인하고, 오류 여부를 송신지국에 통보하여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결졍귀환 방식은 일반적인 오류 제어 방식을 설명하지 않으며, 복합귀환 방식은 여러 귀환 방식을 혼합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전진오류정정 방식은 수신 측에서 스스로 오류를 정정하는 방식으로, 송신지국에서의 오류 여부 결정과는 직접적 관련이 없다.
22. 송신측에서 1개의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고 나서 일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할 경우 해당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오류제어방식은?
① Go-back-N ARQ 방식
② Selective-repeat ARQ 방식
③ 정지-대기 ARQ 방식
④ 적응적 ARQ 방식
정답: 3
해설: 정지-대기 ARQ 방식에서는 송신측이 하나의 프레임을 송신하고, 수신측의 확인 응답(ACK)을 받을 때까지 기다린다. 일정 시간이 지나도 응답을 받지 못하면 해당 프레임을 재전송한다. Go-back-N ARQ 방식은 여러 프레임을 송신하고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의 모든 프레임을 재전송하며, Selective-repeat ARQ 방식은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만을 재전송한다. 적응적 ARQ 방식은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전송 방식을 조정한다.
23. 송신측의 전송속도와 수신측의 수신속도가 다를 때 요구되는 통신기능은?
① 선로용량의 공유 기능
② 예외 상태의 복구 기능
③ 오류제어 기능
④ 흐름제어 기능
정답: 4
해설: 흐름제어 기능은 송신측과 수신측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조절하여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는 기능이다. 송신측의 전송 속도가 수신측의 처리 속도를 초과할 경우 데이터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흐름제어를 통해 이를 조절한다. 선로용량의 공유 기능은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 분배를 위한 것이며, 예외 상태의 복구 기능은 시스템 오류 시 복구를 위한 기능이다. 오류제어 기능은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탐지하고 수정하는 기능이다.
24. OSI 참조모델에서 언급되는 계층화(layering)의 원칙에 관한 서술로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비슷한 기능들은 동일한 계층에 존재하도록 한다.
② 각 계층은 다른 계층들과 반드시 경계를 갖도록 한다.
③ 경계를 접하는 최대의 상호작용이 발생하도록 경계를 정한다.
④ 독립적이거나 유사한 기능들은 모든 계층에 골고루 존재하도록 하고 이를 인터페이스로 사용한다.
정답: 1
해설: OSI 모델의 계층화 원칙은 비슷한 기능을 동일한 계층에 포함시켜 각 계층이 명확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각 계층은 독립적으로 설계되어야 하며, 명확한 경계를 갖고 있어야 하지만, 최대의 상호작용을 발생시키도록 경계를 설정하는 것은 아니다. 기능이 모든 계층에 골고루 분산되어서는 안 된다.
25. 다음 중 TCP를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① TFTP(Trivial FTP)
② DNS(Domain Name System)
③ Telnet
④ ping
정답: 3
해설: Telnet은 TCP를 사용하여 원격 시스템에 접속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TFTP는 간단한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UDP를 사용하고, DNS는 주로 UDP를 사용하지만 TCP도 사용할 수 있다. ping은 ICMP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도구로, TCP를 사용하지 않는다.
26. UDP(User Datagram Protocol)에 관한 서술로 옳은 것은?
① TCP의 데이터그램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결형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이다.
② TCP의 데이터그램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연결형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이다.
③ IP의 데이터그램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결형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이다.
④ IP의 데이터그램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연결형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이다.
정답: 4
해설: UDP는 IP와 함께 사용되는 비연결형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로, 데이터그램 전달 서비스를 제공한다. UDP는 연결 설정 과정 없이 데이터그램을 전송하며, 신뢰성, 순서 보장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TCP는 연결형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이며,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은 아니다. 따라서 IP의 데이터그램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연결형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인 UDP가 맞다.
27. 호스트의 물리 주소는 알지만 IP 주소를 모르는 경우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① ARP
② RARP
③ DNS
④ DHCP
정답: 2
해설: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호스트의 물리 주소(MAC 주소)를 알고 있을 때 해당 호스트의 IP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ARP는 IP 주소를 알고 있을 때 물리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되며, DNS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고, DHCP는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하는 프로토콜이다.
28. 연결형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관련이 깊은 것은?
① TCP
② IP
③ UDP
④ DNS
정답: 1
해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연결형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이다. TCP는 데이터 전송 전에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의 신뢰성과 순서를 보장한다. IP는 비연결형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이고, UDP는 비연결형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이며, DNS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다.
29. 인터넷에서 IP 주소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 IGMP
② DNS
③ BOOTP
④ host table
정답: 1
해설: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는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로, IP 주소 관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DNS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고, BOOTP는 IP 주소를 초기 부팅 시 할당하며, host table은 IP 주소와 호스트 이름을 매핑하는 정적 파일이다.
30. LAN의 특성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 단일 기관의 소유이다.
② 패킷 전송이 최소화된다.
③ 라우팅에 의해 LAN 내부의 통신이 가능하다.
④ 비교적 오류율이 낮고 확장성과 재배치성이 좋다.
정답: 3
해설: LAN(Local Area Network)은 일반적으로 단일 기관이나 조직에 의해 소유되고 관리된다. LAN 내의 통신은 주로 스위칭을 통해 이루어지며, 라우팅은 주로 WAN에서 사용된다. LAN은 비교적 낮은 오류율을 가지며, 확장성과 재배치성이 좋다. 따라서 "라우팅에 의해 LAN 내부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LAN의 특성으로 부적절하다.
31. 매체 액세스 제어(MAC) 기능에 대응되는 OSI 참조 모델의 계층은?
① 네트워크 계층
② 물리 계층
③ 트랜스포트 계층
④ 데이터 링크 계층
정답: 4
해설: 매체 액세스 제어(MAC) 기능은 OSI 참조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수행된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관리하고 오류 검출 및 수정 기능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계층은 경로 설정, 물리 계층은 물리적 전송 매체와 관련된 기능을, 트랜스포트 계층은 데이터의 종단 간 전송을 담당한다.
32. 복수개의 LAN을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MAC 주소와 같은 물리적 주소를 이용하는 통신장치는?
① 스위칭 허브
② 브리지
③ 라우터
④ 게이트웨이
정답: 2
해설: 브리지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여러 LAN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과정에서 MAC 주소와 같은 물리적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달한다. 스위칭 허브도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지만 주로 LAN 내에서 사용되고,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IP 주소를 사용하여 경로를 설정하며, 게이트웨이는 다양한 프로토콜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33. 무선 LAN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Ad-hoc 방식
② Infrastructure 방식
③ IEEE 802.11 표준
④ FDDI 표준
정답: 4
해설: 무선 LAN은 Ad-hoc 방식과 Infrastructure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IEEE 802.11 표준을 따른다. FDDI(광섬유 분산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유선 네트워크 표준으로, 무선 LAN과는 관련이 없다.
34. 공개 키 암호방식에 관련된 서술로서 적절한 것은?
① 암호화 키는 공개하고 복호화 키는 비밀리에 관리한다.
② 복호화 키는 공개하고 암호화 키는 비밀리에 관리한다.
③ 대칭키 암호방식이라고 불리며 RSA 방식, Vernam 방식 등이 있다.
④ 미국 정부의 표준암호방식으로 사용되는 DES가 대표적인 예이다.
정답: 1
해설: 공개 키 암호방식은 암호화 키를 공개하고, 복호화 키를 비밀리에 관리한다. 이는 RSA 방식 등에서 사용되는 비대칭 키 암호화 방식이다. 대칭키 암호방식은 동일한 키를 사용하며, DES는 대칭키 암호화 방식의 예이다.
35.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패킷들을 검사하여 조건에 맞는 패킷들만 통과시키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총칭하는 용어는?
① 토큰 링
② 디지털 서명
③ 방화벽
④ 공개키 기반구조
정답: 3
해설: 방화벽은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패킷을 검사하고, 조건에 맞는 패킷만을 통과시키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장치이다. 토큰 링은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지털 서명은 데이터의 무결성 확인, 공개키 기반구조는 암호화와 관련된 인프라이다.
'방통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통대 빅데이터의 이해와 활용 동영상 강의 연습 문제 정리 (3) | 2024.12.01 |
---|---|
방통대 인공지능 2013학년도 2학기 기출문제 풀이와 해설 및 다운로드 (1) | 2024.06.08 |
방통대 정보통신망 2013학년도 1학기 출석수업대체시험 기출문제 풀이 및 다운로드 (2) | 2024.06.06 |
방통대 정보통신망 2012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기출문제 풀이 및 해설 다운로드 (0) | 2024.06.06 |
방통대 정보통신망 2011-1학기 기출문제 풀이 및 다운로드 (0) | 2024.06.06 |